리눅스 파일시스템 마운트 설정정보파일 /etc/fstab의 활용

입질쾌감 물때표

1. 리눅스 파일시스템 마운트 설정정보파일 /etc/fstab 의 파워활용

– 해당파일시스템의 장치명(device name)
–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마운트포인트(디렉토리명)
– 파일시스템 타입(ext2, ext3, iso9660, swap등)
– 파일시스템을 Read Only로 마운트할 것인가?
– 파일시스템을 Read, Write로 마운트할 것인가?
– Quota정책을 적용할 것인가?
–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인가?
–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를 할 것인가?
– SerUIS, SetGID 설정을 허용할 것인가?
– fsck로 파일시스템검사시 검사하는 순서설정

– /etc/fstab 파일의 표시 예 #1 (파일시스템장치명을 ‘레이블명’ 으로 표시)
LABEL=/ / ext3 defaults 1 1
– /etc/fstab 파일의 표시예 #2 (파일시스템장치명을 ‘장치명’ 으로 표시)
/dev/hda5 / ext3 defaults 1 1
– /etc/fstab 파일이 ‘레이블명’ 으로 되어있는 것 보다는 명확한 ‘파일시스템장치명’ 으로 표시하는 것이 서버관리에 효과적임

2. /etc/fstab 파일의 구조

– /etc/fstab 파일의 각행은 모두 6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음
[파일시스템장치명] [마운트포인트] [파일시스템종류] [옵션] [dump관련설정] [파일점검옵션]

3. [파일시스템장치명] : /etc/fstab 파일의 첫번째 항목

– 파일시스템의 장치명을 설정함( /dev/sda1, /dev/hda2 등과 같은 파일시스템 장치명의 자리)
– 만약 파일시스템에 레이블(LABEL)이 설정되어 있다면 장치명 대신 레이블명으로 지정할 수도 있음.

4. [마운트포인트] : /etc/fstab 파일의 두번째 항목

–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마운트포인트임( /, /home 과 같은 이름을 의미)
– /home 과 /home1 과 같은 부분을 마운트포인트라고 함

5. [파일시스템종류] : /etc/fstab 파일의 세번째 항목

–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설정하는 항목
– ext :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되었던 파일시스템으로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
– ext2 :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으로서 긴파일명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
– ext3 : 저널링파일시스템으로서 etx2에 비해 파일시스템 복구기능과 보안부분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현재는 ext2보다 ext3을 기본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사용하고 있음.
– iso9660 : CD-ROM의 표준파일시스템으로서 Read Only로 사용됨.
– nfs : Network File System으로서 원격서버를 마운트할 때 사용함.
– swap : 스왑파일시스템으로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됨.
– ufs : UNIX FileSystem으로서 UNIX SYSTEM 5계열에서는 표준파일시스템임.
– vfat : 윈도우 95나 98, 그리고 NT를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.
– msdos : MS-DOS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.
– hpfs : HPFS에 대한 파일시스템.
– ntfs : 윈도우NT나 2000의 NTFS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
– sysv : 유닉스시스템 V를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.
– hfs : Mac컴퓨터의 hfs 파일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.
– ramdisk : RAM디스크를 지원하는 파일시스템
– …그외 다수.
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파일시스템을 확인해 보려면 /proc/filesystems 를 확인하면 됨.

webterror ~ # cat /proc/filesystems 
nodev	sysfs
nodev	rootfs
nodev	bdev
nodev	proc
nodev	cgroup
nodev	cpuset
nodev	tmpfs
nodev	debugfs
nodev	securityfs
nodev	sockfs
nodev	pipefs
nodev	anon_inodefs
nodev	configfs
nodev	devpts
	reiserfs
	ext3
	ext2
	squashfs
nodev	ramfs
nodev	hugetlbfs
	vfat
	iso9660
	udf
nodev	mqueue
nodev	usbfs
	ext4
	jfs
nodev	rpc_pipefs
nodev	nfs
nodev	nfs4
	xfs
nodev	fuse
	fuseblk
nodev	fusectl
webterror ~ # 

6. [옵션] : /etc/fsta 파일의 네번째 항목

– 파일시스템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속성을 설정하는 옵션
– defaults : rw, nouser, auto, exec, 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속성. 가장 일반적인 파일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속성.
– auto : 부팅시 자동마운트됨.
– 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파일시스템.
– suid :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파일시스템.
– ro : 읽기전용 파일시스템으로만 사용됨 (Read Only)
– rw : 읽고 쓰기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됨 (Read, Write)
– user : 일반 계정사용자들도 마운트를 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.
– nouser : 일반 계정사용자들은 마운트 할 수 없는 파일시스템. root 만 mount 할 수 있음.
– noauto : 부팅시 자동마운트되지 않게 함.
– noexec : 실행파일을 실행되지 못하게 하는 파일시스템.
– nosuid :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 파일시스템.
– usrquota : 개별 계정사용자의 쿼타(Quota)설정이 가능한 파일시스템.
– grpquota : 그룹별 쿼타(Quota)설정이 가능한 파일시스템.

7. [dump 관련설정] : /etc/fstab 파일의 다섯번째 항목

– /etc/fstab 파일의 다섯번째 설정항목으로서 0 또는 1 을 가질 수 있음. 1 은 데이터백업등을 위해 dump 가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며, 0 은 dump 명령으로 덤프되지 않는 파일시스템임.

8. [파일점검옵션] : /etc/fstab 파일의 여섯번째 항목
– /etc/fstab 파일의 여섯번째 설정항목으로서 0 또는 1, 그리고 2 가 올 수 있음. 0 은 부팅시 실행되는 fsck 가
실행되지 않는 설정이며, 1 은 루트파일시스템을 의미하며, 2는 루트파일시스템이외의 파일시스템을 의미함. 여기서 설정된
파일시스템의 순서를 기준으로 부팅시 실행되는 fsck 의 순서가 결정됨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